현재 우리가 쓰는 돈은 어떻게 탄생했을까? 돈의 탄생과 본질을 알기위해 우리가 익히 들어본 은행의 탄생과정을 살펴보도록 하겠다.
처음에 사람들은 필요한 물건을 얻기 위해 자신의 물건과 다른사람의 물건을 바꿨다.(물물교환) 하지만 바꿀 물건을 가지고 다니기도 힘들고 사람마다 물건 가치에 대한 생각이 달라 문제가 되었다. 따라서 썩지 않으며 모두에게 공통된 가치를 가진 상징적인 물건인 금을 돈으로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하지만 금은 무겁고 도둑들의 목표물이 될 가능성이 컸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민하던 중 한 금세공업자가 방법을 제안하였다. 많은 사람들이 자기에게 금세공을 위해 금을 맡기는데 그 금을 보관해 주고 언제든 금 보관증을 가져오면 돌려주겠다고 한 것이다. 결국 사람들은 금을 직접 들고 다니지 않고 금을 금세공업자에게 보관하고 있다는 증거인 금 보관증을 들고 다니기 시작하였다.
금 보관증이 인기를 얻자 금세공업자에게 맡겨진 금은 점점 더 늘어갔다. 금세공업자는 사람들이 금을 한꺼번에 다 찾아가지 않는다는 사실을 이용하여 몰래 다른 사람에게 금을 빌려주고 이자를 받는 대출사업을 시작하였다.
하지만 이 세상에 비밀은 없는 법. 자신의 금이 동의 없이 대출사업에 사용된다는 소식을 들은 많은 금 주인들이 한꺼번에 금을 돌려달라고 금세공업자를 찾아가게 되었다. 이에 금세공업자는 파산의 위기를 맞이하게 되었지만 앞으로 대출사업 이자의 일정 부분을 금 주인들에게 나눠주기로 약속하면서 파산을 면하게 되었다.
그 후 금세공업자가 사는 나라에 큰 전쟁이 일어났고 전쟁비용이 필요한 왕은 금세공업자에게 금을 빌리는 대신 금 보관증인 종이돈을 만들어 대출 영업을 할 수 있는 합법적인 권한을 주었다. 그때부터 국가에 공인을 받은 은행이 시작된 것이다.
합법적 권한을 얻은 금세공업자의 은행은 보통 사람들이 맡긴금의 10%만 찾으러 온다는 사실을 알아차리게 된다. 따라서 금세공업자의 은행은 고객이 맡긴 금의 10%만 은행 금고에 넣어두고 나머지는 다른 사람에게 대출해주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방식은 오늘날의 은행에서도 마찬가지로 사용된다. 많은 사람들이 예금한 돈의 일정 부분만 은행 금고에 넣어두고 나머지는 대출에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대출 방식이 계속 이루어지면 어떤 결과가 나타날까? 결론부터 말하자면 돈의 양이 엄청나게 증가한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예를 들어 설명해 보겠다. 만약 내가 100만원을 은행에 예금하고 은행은 내 돈의 10%만을 금고에 남긴다고 가정해보자. 은행은 내돈 100만원 중 10만원만 은행 금고에 넣어두고 90만원은 홍길동 이란 사람에게 대출해 준다.
이 과정에서 내 통장계좌에는 100만원이 고스란히 유지된다. 내 돈 90만원이 홍길동에게 대출되어 은행에 없는데도 말이다. 결국 은행계좌에는 내 통장 계좌 100만원과 이후 대출 받은 홍길동이 계좌 90만원 총 190만원이 찍히게 되어 없던 돈 90만원이 새로 생기게 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끝나느냐? 그게 아니다. 이번에는 홍길동의 90만원의 10%인 9만원만 남겨놓고 81만원이 임꺽정에게 다시 대출되어 진다. 새로운 돈 81만원이 또 생겨나는 것이다. 이 과정은 계속 반복되어 없었던 돈이 계속 만들어 진다. 결국 처음 내돈 100만원이 100+90+72.9+65.61+... 총 1000만원 이라는 돈으로 불어나는 것이다. 그 결과 시중의 돈의 양은 계속 증가하게 된다.
앞서 말한 금 보관증을 다시 생각해보자. 원래 금세공업자가 발행한 종이돈은 금고에 있는 금을 기반으로 발행하였다. 과거 미국의 경우에는 금고에 있는 금 1온스(oz)를 기반으로 35달러를 발행했었다.
하지만 미국이 베트남 전쟁에 참여하게 되어 많은 양의 달러를 찍어내면서 상황은 바뀌게 되었다. 새롭게 찍어낸 많은 양의 달러로 달러가 흔해짐에 따라 달러의 가치가 낮아지게 되었다. 이에 세계 각국은 달러의 가치가 더 낮아지기 전에 보유하던 달러를 다시 금으로 바꿔 달라는 요구를 미국에 하게 되었다. 각국의 요구에 응하여 달러와 금을 바꿔주던 미국은 보유하던 금의 양이 크게 줄어들게 되었다. 미국이 보유하던 금의 양이 줄어들자 문제가 발생했다. 금 1온스(oz)가 있어야 35달러를 찍어낼 수 있는데 보유하고 있는 금의 양이 줄어들어 새로운 돈을 찍어낼 수 없게 된것이다. 이에 1971년 미국의 닉슨 대통령은 미국 달러와 금을 교환하는 금본위제를 폐지하여 더 이상 달러를 금으로 바꿔줄 수 없다고 선언하였다.
이게 무슨 뜻인가? 1971년부터 더 이상 금과 종이돈은 아무런 관계가 없다는 뜻이다. 그전에는 은행 금고에 있는 금의 양만큼 종이돈을 찍어냈다면 현재 우리가 돈이라고 부르는 종이돈은 사실 그냥 종이일 뿐이다! 미국의 종이돈인 달러는 단지 미국이라는 나라의 신용을 기반 삼아 찍어낸 그림이 그려진 종이이다.
한 가지 더 알아야 할 것은 달러를 찍어내는 연방준비은행(Federal Reserve Bank)이 민간 은행이라는 사실이다. 즉 미국 정부를 고객으로 둔 민간 기업이다. 따라서 연방준비은행 그들의 이익을 위해 달러를 찍어내도 뭐라 할 수 없다. 이는 우리나라의 한국은행이 국가기관이라는 점과 사뭇 다르다. 그렇다고 우리나라의 종이돈인 원화가 금과 관련 있다는 것도 아니다. 달러와 같이 대한민국이라는 나라의 신용을 기반삼아 찍어내는 종이일 뿐이다.
결국 자본주의 세상에 사는 우리는 종이돈을 믿고 모을 것이 아니라 종이돈을 믿을 수 있는 자산으로 바꿔야 한다.
1971년 8월 15일, 닉슨 미 대통령이 “달러화 방위를 위해 달러화의 금태환(金兌換)을 90일간 잠정 중단한다”고 선언함으로써 세계가 겉잡을 수 없는 혼란에 빠져들었다. 이른바 ‘닉슨 쇼크’였다. “달러를 더 이상 금으로 바꿔줄 수 없다”는 닉슨의 선언은 4반세기 동안 세계 경제를 지탱해온 ‘브레튼우즈 체제’의 붕괴를 의미했다.
‘브레튼우즈 체제’는 1944년 7월 미국 브레튼우즈에 모인 연합국 대표들이 ‘미국은 달러를 금으로 바꿔주고 다른 나라 통화는 달러에 연동시키자’고 합의하면서 시작됐다. 미국 자신이 만들어 세계경제의 번영을 지탱해온 ‘브레튼우즈 체제’를 미국 스스로 파괴하겠다고 나섰으니 미국으로서야 당연히 비통한 마음이었겠지만 만성적인 경제악화에 시달리고 있는 마당에 이것저것 따질 계제가 아니었다.
‘브레튼우즈 체제’ 이후 국내통화이면서 동시에 유일한 국제통화였던 달러를 마구 찍어 세계경제를 주무르던 미국 경제에 짙은 그늘이 드리우기 시작한 것은 1960년대 후반이었다. 베트남전으로 군사비가 증가한 데다 흑자에서 적자로 곤두박질친 무역수지가 원인이었다. 적자 누적이 달러 유출과 금준비고의 감소로까지 이어지자 더 이상 견딜 수 없게 된 미국은 결국 달러와 금을 떼어놓았고 기축통화인 달러화를 마치 실 끊어진 연처럼 세계 환시장에 내던져버렸다. 이것은 타국의 통화 특히 무역흑자가 정착되기 시작한 일본 엔과 서독 마르크의 통화절상을 노리고, ‘브레튼우즈 체제’의 고정환율제를 변동환율제로 바꾸겠다는 포석이었다.
달러를 순식간에 ‘그림 딱지’로 만들어버린 닉슨의 긴급 경제조처는 결국 세계를 향한 선전포고였지만 어느 누구도 감히 미국에 항의하지 못하고 대책 마련에만 부심했다. 대안으로 등장한 것이 이른바 ‘스미스소니언 체제’다. 이는 1971년 12월 18일 선진 10개국 재무장관이 미국 워싱턴의 스미스소니언 박물관에서 격렬한 논의 끝에 새로운 국제통화조정협정에 서명한데서 출발한다. 협정에 따라 금에 대한 달러의 평가가 순금 1온스당 35달러(브레튼우즈 체제)에서 38달러로 7.895% 절하돼 주요국 통화가 달러화에 대해 절상되고 환율변동 폭이 상하 각 2.25%로 확대됐다. 고정환율제는 ‘닉슨쇼크’로 흔들리더니 급기야 1976년 1월 자메이카의 수도 킹스턴에서 개최된 IMF 제5차 잠정위원회에서 각국에 환율제도의 선택재량권을 부여하기로 결정함으로써 완전히 무너졌다.
'경제 기업 주식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산에 투자 하지 않으면 벼락거지 집값 폭등 집 있으면 벼락부자 (0) | 2021.08.25 |
---|---|
혼자 사는 삶이 시사하는 것 일본 청년 (0) | 2021.08.20 |
부자가 되려면 5가지 테크닉나쁜 습관 없애라 (0) | 2021.08.20 |
rich 리치 가 되려면 이 six 가지만 실천하라 (0) | 2021.08.20 |
나는 점점 가난해진다 돈이 아닌 부동산 주식을 모아야 하는 이유는 무엇 인가? (0) | 2021.08.20 |